반응형 식멍119 스투키 자구 분갈이 스투키를 키우다 보면 기다란 스투키 옆으로 자구들이 많이 뻗어 나온다. 분갈이 할 때 그 스투키 자구들을 하나로 모아서 한 화분으로 만들 수 있고, 수경으로 키워도 잘 자란다. 스투키를 처음 키우는 사람들은 원래 내가 알던 스투키와 모습이 많이 다른 스투키 새싹들을 보고 이게 뭔가 싶을 것이다. 기존의 스투키 모습은 원통형인데 새로 올라오는 자구들은 그렇지가 않다. 흡사 일반적인 식물의 잎 모습과 같다. 이 자구들은 신기하게도 자라면서 위에서 부터 점점 원통형이 되어가며 자라, 엄마와 같은 모습이 된다. 시중에 파는 스투키는 사실 잎꽂이해 놓은 걸 우리가 구입하게 된 건데 잎꽂이된 스투키가 뿌리를 내리고 싹을 올린 후 자라는 모습이 스투키의 원래 모습인 것이다. 스투키의 자구들을 똑똑 분리시켜 흙에 심으.. 2022. 5. 29. 세들어 살던 홍페페 집 장만하기 작년 여름에 잎꽂이시킨 홍페페가 잎이 많이 올라와 어엿한 개체로 성장해 새 집을 장만시켜 줬다. 10개월이 경과된 시점이다. 홍페페는 잎에 빨간 테두리가 있는 페페로 청페페와 구분되는 아이이다. 나의 홍페페 시작은 화원의 2000원 작은 모종에서 시작했고, 그걸 키워 엄마에게 분양했더랬다. 그 후 식물 놓을 자리가 부족해 여러 집에 나눔 하면서 내가 키우던 홍페페가 없어졌는데 엄마네 홍페페가 많이 자라 가지치기하면서 다시 내게로 왔다. 가지치기한 홍페페는 물꽂이로 뿌리로 내리고 그걸 흙에 심어주어 다시 한 화분이 탄생했다. 끝없이 번식이 이뤄진다. 홍페페는 병충해도 없다. 키우기 쉬운 식물이다. 창가 해 좋은 곳에 놓고 화분의 흙이 바싹 마른 후 물을 주며 키운다. 홍페페는 잎이 두툼한 아이이다. 잎에 .. 2022. 5. 22. 꽃기린 가지치기 40일 후 변화 꽃기린의 생명력은 정말 '헉'소리 나게 대단하다. 가지치기 한 날 물을 흠뻑주고 바로 땡볕에 내놓고 키웠는데 한 달 만에 꽃 피고, 뿌리가 내렸는지 새 잎이 여기저기 돋는다. 지난 4월 8일에 베란다에서 낙엽 지며 겨울을 보낸 꽃기린이 기둥만 남은 모습이 보기 싫어 가지치기를 해줬었다. 지난 이야기>>> 꽃기린 키우기 - 가지치기 / 노지 생활 시작 꽃기린 키우기 - 가지치기 / 노지생활 시작 꽃기린은 굵은 갈색 기둥 줄기에 가시가 있는 다육식물이다. 환경이 허락한다면 일 년 내내 꽃을 피워주는 고마운 식물이기도 하다. 꽃기린은 기둥의 뾰족한 가시가 나 있는 것에 비해 흰색, 핑 me2woo.tistory.com 가지치기 한 날 삽목 한 화분과 함께 물을 흠뻑 주고 그날로 실외에서 생활하던 꽃기린이 한 .. 2022. 5. 19. 크루시아 키우기 남아메리카가 자생지인 크루시아는 Clusia rosea의 학명을 따라 클루시아로도 불린다. 연둣빛 잎이 싱그러운 느낌을 주는 식물로 동글동글한 잎이 귀엽고 매끄러운 것이 특징이다. 건조에 강하고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도 뛰어나서 관리를 별로 필요로 하지 않아도 잘 자라는 식물이다. 실내에서 관리가 쉬워 초보자에게 권할 수 있는 식물이나 과습에는 유의해야 한다. 크루시아는 번식도 참 쉽다. 크루시아 가지를 정리해 주면서 가지치기한 크루시아를 물꽂이로 뿌리를 내린 후 흙에 심어주면 새로운 개체로 만들 수 있다. 크루시아는 어떤 환경에서도 잘 자라지만 간접광이 들어오는 실내 밝은 곳에서 관리하는 것이 가장 좋다. 여름철 직사광선은 잎을 노랗게 만들 수 있으니 피해야 한다. 삽목 한 크루시아가 키가 어느 정도 크.. 2022. 5. 18. 아레카야자 키우기 - 분갈이 인도 마다가스카르가 고향인 아레카야자를 키우기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많다. 아레카야자 잎이 말라버린 채 방치된 화분도 종종 볼 수 있는 식물인 만큼 키우기 쉽다는 화원 아저씨의 말만 믿고 들였는데 여간 키우는 것이 까다롭다. 아레카야자를 5년 전 들여 키우기 시작했다. 나사가 선정한 공기정화 식물 1위라는 식물을 키워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화원에서 사 올 때는 잎도 좀 통통하니 폭이 좀 넓은 듯 보이고 잎도 하늘을 보고 서있는데 5년이 지난 지금은 숱도 좀 줄고, 옆으로 많이 누워 여기저기 지지대로 고정시켜주며 키우는 모습니다. 아레카야자는 공중 습도가 높아야 한다. 실내가 너무 건조하면 응애가 생길 수 있고 잎 끝이 마른다. 식물들을 돌보며 공중습도가 낮다면 잎에 분무해.. 2022. 5. 16. 이전 1 ··· 3 4 5 6 7 8 9 ··· 2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