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후_의료비_연금

홍춘욱 - 3가지 자산배분전략 / 연금자산

by 성공주부 2022. 5. 20.

홍춘욱의 '돈의 흐름에 올라타라'책에 소개된 자산배분 전략에 대해 살펴보려한다.

 

 

 

3가지 자산배분 전략에는 성장형, 안정형, 중립형이 있다. 차례대로 국내외 주식비중이 50%,25%,35%이다.

결론부터 보자면 아래의 표는 각 자산배분의 성과를 비교한 표이다.

 

  누적 수익률 수익률 표준편차 최대낙폭
코스피200TR 348% 21.7% 55.9%
안정형 232% 4.4% 8.3%
중립형 311% 7.1% 21.1%
성장형 345% 10.0% 32.3%

 

 

[ 성장형 ] - 투자경력이 오래된 사람들, 연금자산 운용에 적합

자산 비중 추천 투자상품
주식 50% 25% 타이거 미국S&P500
25% 아리랑 신흥국MSCI(합성H)
채권 10% 코세프 국고채10년
10% 아리랑 미국장기우량회사채
대체투자 20% 타이거 미국MSCI리츠(합성H)
현금성 자산 10% 타이거 단기채권엑티브

 

연금자산에는 선물, 레버리지 상품에 투자할 수 없기 때문에 타이거 미국채 10년 선물 대신 장기우량회사채를, 타이거 골드선물 대신 미국 리츠로 대체했다.

 

성장형 성과
성장형 성과

 

매월 리밸런싱을 했다는 가정하에 백테스트한 결과이다. 누적성과는 타이거 200TR이 348%, 성장형 자산배분 전략이 345%를 기록했다.

 

누적성과는 비슷하지만 변동성은 반이상 줄어드는 것이 핵심이다.

 

성장형 최대낙폭
성장형 최대낙폭

 

특히 최대 낙폭 MDD의 차이가 크다. 

2001년 9.11 테러,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코스피 200가 -56%, -45%를 기록한 것에 비해 성장형 자산배분은 -12%와 -32%를 기록했다. 코로나 때도 코스피 200은 -25%인 반면 성장형 자산배분은 -16%에 불과했다.

 

 

 

[ 안정형 ] - 주식 25% /  채권, 현금성 자산 비중 70%

자산 비중 추천 투자상품
주식 25% 12.5% 타이거 미국S&P500
12.5% 아리랑 신흥국MSCI(합성H)
채권 20% 코세프 국고채10년
20% 아리랑 미국장기우량회사채
대체투자 5% 타이거 미국MSCI리츠(합성H)
현금성 자산 30% 타이거 단기채권엑티브

 

안정형 성과
안정형 성과

 

안정형 자산배분은 232%를 기록했다. 

수익률은 떨어지지만 변동성을 보면  코스피 200이 21.7%인 것에 비해 안정형은 4.4%에 불과하다.

 

 

안정형 최대 낙폭
안정형 최대 낙폭

 

참고로 2000년부터 안정형 자산배분의 연간 수익률을 계산해보면. 2008년에 -2.2%, 2018년에 -0.4%의 손실만 입은 것으로 나타난다.(안정형 자산배분의 연평균 수익률은 5.7%)

 

 

[ 중립형 ] - 주식비중 35% /  채권 비중 35%

자산 비중 추천 투자상품
주식 35% 17.5% 타이거 미국S&P500
17.5% 아리랑 신흥국MSCI(합성H)
채권 35% 17.5% 코세프 국고채10년
17.5% 아리랑 미국장기우량회사채
대체투자 15% 타이거 미국MSCI리츠(합성H)
현금성 자산 15% 타이거 단기채권엑티브

 

중립형 성과
중립형 성과

 

중립형 자산배분의 성과는 성장형과 안정형의 딱 중간인 311%이다.

 

 

중립형 최대낙폭
중립형 최대낙폭

 

중립형 자산배분은 이른바 중위험, 중수익의 상품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ELS 등이 대표적인 중위험 상품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런 상품을 선호하던 이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https://link.coupang.com/a/nsGVc

 

[스마트북스]돈의 흐름에 올라타라 : 돈의 신호를 포착하는 법

COUPANG

www.coupang.com

"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