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후_의료비_연금

전월세 전환율 계산기 - 렌트홈 계산기

by 성공주부 2022. 3. 17.

전월세 전환율이란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할 때 전세 보증금 전부나 일부를 월세로 바꿀 때 기준이 되는 법정 비율이다. 다시 말해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비율을 말한다.

 

 

 

정부는 전세의 월세 전환 속도를 늦추기 위해 2020년 8월 전월세 전환율을 기존 4%에서 2.5% 조정했다.

 

이는 전세를 월세로 전환할 때의 법정 비율이며 월세를 전세로 전환할 때는 적용하지 않는다.

 

그동안 전월세 전환율은 기준금리(0.5%)에 3.5%p를 정해 4%로 정했다. 그것을 기준금리(0.5%)에 2.0%p로 낮춰지면서 2.5%로 하향 조정된 것이다. 

 

네이버에 전월세 전환율 계산기를 검색해보면 아직 2.5%로 값이 되어 있지만  2022년 3월 14일 자 기준으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1.25%이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입력에 따라 전월세 전환율은 1.25%+2.0%로 3.25%이다.

 

네이버-전월세-전환율-계산기
네이버-전월세-전환율-계산기

 

네이버 계산기의 2.5% 오른쪽의 X 버튼을 눌러 3.25%로 수정해 이용할 수 있다.

전세금과 보증금 값을 입력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 하면 자동 계산된다.

 

 

하지만 내가 계약하려는 전월세 전환율을 알고 싶다면 아래의 계산식으로 계산하면 전월세 전환율을 알 수 있다.

 

(월세 X 12개월) / (전세 보증금 - 월세 보증금)  X 100 = 전월세 전환율

 

 

임의로 네이버 부동산에서 비슷한 조건의 월세 매물과 전세매물을 골라 전월세 전환율을 계산해 보자.

아래 매물 2개는 같은 동, 중간층의 비슷한 환경의 월세와 전세 매물이다.

 

네이버 부동산 매물
네이버 부동산 매물

 

위의 예시에서 월세는 보증금 2억에 월세 130만 원이고, 전세로는 5억 5천만 원이다.

 

식에 대입해보면,

 

(월세 X 12개월) / (전세 보증금 - 월세 보증금)  X 100 = 전월세 전환율

(130만 원  X 12개월) / (5억 5천만 원 - 2억 원)  X 100 =4.48

 

전월세 전환율이 4.48%로 나온다.

 

이젠 네이버의 전월세 전환율 계산기를 이용해 전월세 전환율 3.25%로 계산, 비교해보면,

 

네이버-전월세-전환율-계산기-적용값
네이버-전월세-전환율-계산기-적용값

 

월세는 102만 원으로 계산된다.

 

렌트홈 계산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렌트홈 홈페이지
렌트홈 홈페이지

 

렌트홈 홈페이지에서 '임대료 인상률 계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계산기가 뜬다.

 

렌트홈-계산기
렌트홈-계산기

렌트홈 계산기는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명시되어 있으며 자동 적용돼 계산할 수 있다.

 

전월세 전환율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전세에 비해 월세 부담이 높다는 의미이고 낮으면 전세에 비해 월세 부담이 낮다는 의미이다.

 

국가통계포털-전월세-전환율1국가통계포털-전월세-전환율2
국가통계포털-전월세-전환율

 

 

국가통계포털의 전월세 전환율 추세는 2021년 12월까지 통계가 나와있는데 수도권 기준 5.1%의 전월세 전환율을 나타내고 있다. 2021년 7월부터 비교해보면 전국 1%에서 대구는 5%까지 변화 차이를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대구에 입주물량이 많은 것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