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절약/생활 속 숨은 돈 찾기

생활 속 푼돈 모으기

by 성공주부 2021. 7. 7.

내가 애쓰지 않아도 이제는 루틴이 되어 쌓이는 푼돈 모는 방법이다.

이게 습관화가 되다 보니 무심코 쓸 수 있고, 지나쳤던 작은 돈들을 귀히 여기게 되고, 이런 돈들이 모이면 스타벅스 커피 2~3잔 값이 모여지기도 한다.

 

//

 

어카운트인포

- 내가 가지고 있는 카드의 포인트를 바로 현금화할 수 있다. 한꺼번에 전액이 통장에 꽂힌다.

 

 

//

 

샵백

-예전 처음 시작은 이베이츠 코리아였는데 샵백으로 바뀐 것. 이곳을 경유해서 쇼핑을 하면 포인트가 쌓이는데 월평균 5천 원 이상이 통장으로 현금화된다. 

 

 

//

 

 

시럽 월렛

-커피를 좋아하는 나는 OK캐시백 적립 마크가 찍힌 상품을 구입하게 되는데 200원, 300원 적립이 된다. 적은 돈이지만 그냥 지나치기엔 아깝다. 가족 총동원해서 여기저기 사무실에서 무심코 버리게 되는 적립 코드를 달라하니 이것도 아주 쏠쏠하다.

 

 

//

 

캐시워크

- 하루 만보 이상 걷기 운동을 한 지 2년이 되어간다. 여기서 쌓인 캐시로 햄버거도 사 먹고, 커피도 사 먹고 한다. 1년에 2번 정도..... 생각해보니 위의 OK캐시백이 무시할 돈이 아니다.

 

 

//

 

경기지역화폐

-재난지원금 사용 목적으로 시작한 경기지역화폐인데 이제는 자주 사용한다. 적립금액의 10%를 더 적립해줘서 현금처럼 쓸 수 있으니 정말 좋다. 

더 좋은 점은 동네 마트에서 질 좋고 저렴한 채소들을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대만족이다.

 

 

//

 

카카오뱅크

- 그냥 통장에 있는 돈을 세이브박스에 넣어두는 것으로 끝.  한 달에 한번 이자 정산을 해 준다.  예비비, 비상금... 아니면 잠시 놀고 있는 생활비를 넣어둔다. 한 푼이라도 더 받자.

 

 

//

 

예스24

-아이들 교재나 책 구입이 많은 나는 이곳을 많이 이용하는데, 외서나 잡지를 포함시키면서 5만 원 이상 결제가 많다.  그렇게 되면 추가 2천 원 적립이 되고(한방에 꽤 큰 포인트이다. )  한 줄 리뷰로 100원씩 받고, 500점 포인트로 ebook 24일 이용권을 구입해서 이용한다.  

 

 

//

 

네이버

- 정확히 말하면 네이버페이.

이제는 웬만한 곳에서 결제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네이버페이. 포인트가 이곳으로 쌓인다는 느낌을 받는다. 결제 단계에서 다른 카드사의 포인트도 현금화해서 사용할 수 있으니 점점 사용빈도가 놓아지고 있고, 결제 방법으로 네이버페이가 되는 곳을 선택하게도 되고 결제방법으로 네이버페이를 사용한다.

 

 

 

//

 

SSG

-쓱쓱몰. 내가 자주 장보는 곳. 한 달에 리뷰로 2000원 적립을 할 수 있다. 매월 1일에 리뷰를 딱 20개 달아서 2000원 받는다. 쿠폰도 받아둔다. 10% 할인쿠폰이 정말 크고, 몇 일마다 바뀌는 카드 할인 혜택이 정말 크다. 카드 할인과 쿠폰의 조합으로 저렴히 구입한다.

 

 

//

 

 

어카운트인포           500원

샵백                       6000원

시럽                         300원

캐시워크                 1000원

경기저역화폐        15000원

카카오뱅크                100원

예스24                   5000원(ebook이용권은 제외)

네이버페이              1000원

SSG                     2000원(월 2,3만 원 상당의 카드와 쿠폰 할인 제외)

 

총합계        30,900원

 

하루 스타벅스 커피 2~3잔이 아니였네.......정리해보니 정말 푼돈이 크다.

배당금 한 푼, 두 푼 모으는 거 생각하니 정말 크다. 3만 원이면  대충 30달러. 

내가 리얼티인컴으로 대략 월 20달러 정도 받고 있으니....헐.....

 

여기에 없는 당근마켓과 번개장터가 또 있다. 한 달에 중고판매가 있는 달에는 기타수입으로 꽤 큰 금액이 들어온다.

 

결국은 소비를 안 하는 것이 가장 큰 저축인 거 같다.

 

 

 

 

 

댓글